본문 바로가기

(2)
쌀, 백미, - 벼의 열매 쌀, 벼의 열매 세계 3대 곡물(쌀, 밀, 보리) 우리나라 청주 소로리 유적에서 구석기 문화층과 함께 약 1만 5,000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토탄층에서 볍씨가 출토되었고 이는 지금까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 쌀의 영양성분 탄수화물이 전체의 70~85%로 가장 많고 그다음이 단백질, 지방이고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E, 니아신, 무기질로서는 인, 칼륨, 마그네슘과 칼슘을 함유하고 있다. 쌀의 단백질은 글루텔린이 주이고 알부민과 글로불린도 소량 함유하고 있으며 식물성 단백질 중에서는 영양적으로 우수한 편이다. 아미노산은 리신, 트립토판, 메티오닌 등이 적게 함유되어 있고 지방은 배아에 많으며 무기질로서는 인이 많고 칼슘이 적다. 쌀의 영양가는 또한 묵은쌀과 햅쌀에 따라서 다르며, ..
현미 - 벼(쌀)를 왕겨만 제거한 것 현미 - 쌀(백미)+쌀겨+쌀눈(배아) 벼를 왕겨만 제거한 것으로 쌀의 가공 단계에 따른 구분이다. 벼를 수확한 뒤 먹을 수 있게 껍질을 벗겨내는 과정을 도정 혹은 정미라고 한다. 그런데 이 도정 과정은 쌀겨만 벗겨내는 것이 아니라 배아도 깎아내게 된다. 이때 겨층을 완전히 벗겨내어 하얗게 도정한 것이 우리가 보통 먹는 백미이고 왕겨만 제거하고 쌀겨층과 배아를 남겨둔, 즉 '덜 깎은' 쌀이 현미이다. 즉 품종명이 아니라 쌀의 가공 단계에 따른 구분이며 현미의 도정기계는 벼의 도정기계와 다른다. 흑미 현미도 있고 찹쌀 현미도 있다. 현미의 성분- 쌀(백미)에 영양가를 더하다 식이섬유소(백미보다 3배)가 풍부, 쌀겨와 배아(쌀눈)가 남아있기 때문에 미네랄이 백미보다 많다. 비타민 B1, B2, B6, B9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