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19)
양파 - 단골 음식 재료 onion 음식의 필수 식재료, 양념채소 양파 대부분 수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양파가 뿌리가 아닌 껍질이 겹겹이 쌓여있는 비늘줄기 부분이 양파이다. 양파는 ‘알리신’을 함유하고 있어 매우면서도 단맛이 난다. 고대에는 생명력의 상징이 양파였다 고대 이집트부터 그리스 등등의 문헌에 양파는 생명력을 높이는 음식으로 기록되어있다. 피라미드의 노역을 하는 노동자에게 특식으로 주어졌으며 검투사들은 양파를 몸에 발라 근육을 탄탄하게 하는데 이용하였고 고문을 하여도 양파와 부추만은 사용하지 말라고 하였다. 양파의 성분 단백질, 탄수화물, 비타민 A, 비타민 C, 칼슘, 인, 철 등의 영양소가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퀘르세틴, 알리신, 이오우, 스코르딘 성분이 있으며 이유화프로필 성분이 비타민b1의 작용을 강화시킨다. 지방의 함량..
코로나19 중국 우한 폐렴 바이러스 치료제 발견 중국 생산 바이러스 걸리면 이버맥틴을 먹어라 3개의 기존 약물이 예루살렘 연구실에서 '거의 100%' 성공으로 코로나바이러스와 싸웁니다 이스라엘타임즈 3 existing drugs fight coronavirus with ‘almost 100%’ success in Jerusalem lab https://www.timesofisrael.com/3-existing-drugs-fight-coronavirus-with-almost-100-success-in-jerusalem-lab/ 3 existing drugs fight coronavirus with ‘almost 100%’ success in Jerusalem lab If medicines pass clinical test for COVID, they’r..
늙은 호박 - 청둥호박, 멧돌호박, 숙과용호박 호박 껍질부터 호박씨까지 몸에 좋다 늙은 호박 청둥호박, 맷돌호박, 숙과용 호박 전국적으로 생산되나, 호남지역이 생산량의 70∼80%를 차지한다. 호박을 성숙하게 재배하여 겉이 단단하고 속의 씨가 잘 여문 호박을 말한다. 동양계 호박의 경우에는 개화한 뒤 50일 정도 지나 완전히 황색이 된 것을 수확하며, 서양계 호박의 경우에는 개화한 뒤 35~40일 정도 지나 황갈색이 된 것을 수확한다. 겉이 단단하여 저장성이 좋다. 늙을수록 단맛이 증가하는 호박은 잘 익을수록 달다. 늙은 호박의 당분은 흡수가 잘 되며 비타민과 미네랄 식이섬유소가 풍부하다 늙은 호박의 씨에는 레시틴과 필수 아미노산이 많이 함유되어있다 호박의 영양성분 (껍질부터 씨까지) 비타민과 미네랄 식이섬유소가 풍부 호박의 노란빛은 카로티노이드, ..
쌀, 백미, - 벼의 열매 쌀, 벼의 열매 세계 3대 곡물(쌀, 밀, 보리) 우리나라 청주 소로리 유적에서 구석기 문화층과 함께 약 1만 5,000년 전에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토탄층에서 볍씨가 출토되었고 이는 지금까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것. 쌀의 영양성분 탄수화물이 전체의 70~85%로 가장 많고 그다음이 단백질, 지방이고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E, 니아신, 무기질로서는 인, 칼륨, 마그네슘과 칼슘을 함유하고 있다. 쌀의 단백질은 글루텔린이 주이고 알부민과 글로불린도 소량 함유하고 있으며 식물성 단백질 중에서는 영양적으로 우수한 편이다. 아미노산은 리신, 트립토판, 메티오닌 등이 적게 함유되어 있고 지방은 배아에 많으며 무기질로서는 인이 많고 칼슘이 적다. 쌀의 영양가는 또한 묵은쌀과 햅쌀에 따라서 다르며, ..
현미 - 벼(쌀)를 왕겨만 제거한 것 현미 - 쌀(백미)+쌀겨+쌀눈(배아) 벼를 왕겨만 제거한 것으로 쌀의 가공 단계에 따른 구분이다. 벼를 수확한 뒤 먹을 수 있게 껍질을 벗겨내는 과정을 도정 혹은 정미라고 한다. 그런데 이 도정 과정은 쌀겨만 벗겨내는 것이 아니라 배아도 깎아내게 된다. 이때 겨층을 완전히 벗겨내어 하얗게 도정한 것이 우리가 보통 먹는 백미이고 왕겨만 제거하고 쌀겨층과 배아를 남겨둔, 즉 '덜 깎은' 쌀이 현미이다. 즉 품종명이 아니라 쌀의 가공 단계에 따른 구분이며 현미의 도정기계는 벼의 도정기계와 다른다. 흑미 현미도 있고 찹쌀 현미도 있다. 현미의 성분- 쌀(백미)에 영양가를 더하다 식이섬유소(백미보다 3배)가 풍부, 쌀겨와 배아(쌀눈)가 남아있기 때문에 미네랄이 백미보다 많다. 비타민 B1, B2, B6, B9가 ..
찰보리 - 찰성 겉보리 보리는 5대 주요 곡류 중 하나로 후기 구석기시대의 유적인 이집트 아스완(Aswan)의 와디 쿠반야(Wadi Kubbaya)에서 최초로 순화된 보리의 흔적이 발견되었다. 찰보리는 겉보리의 일종인 강보리와 찰성의 쌀보리인 마산과맥을 인자친으로 하고 반복친으로 '강보리'를 여교잡하여 강보리를 닮은 찰성 계통을 육성 겉보리의 일종으로 다른 작물에 비해 병해충이 심하지 않아 농약을 살포할 필요가 없다. 호화 온도가 71.5℃로 낮으므로 밥하는 데에 시간이 덜 걸린다. 흡수율은 높고 퍼짐성이 좋다. 밥의 끈기는 좋은 편이고, 식으면 굳어지는 정도가 올보리보다 많이 낮아 밥맛이 부드럽다. 보리알은 무게가 무거운 것일수록 아밀라아제와 단백질이 풍부해 좋고 혼식을 할 경우에는 쌀과 보리의 비율이 7대 3이 되는 게 이..
콩 - 콩나물 콩, 초록 콩나물 콩나물콩은 콩나물의 원료로 이용되는 소립콩을 통칭 일반적으로 백태보다는 크기가 작다 종피색은 황색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녹색이며, 이밖에도 황갈색, 갈색 등이 있다. 백태에대한 내용의 링크이다. 이후는 콩나물에 대해 정리한다 백대에대해서 더보시려면 클릭 2021.04.16 - [잡곡] - 콩 백태 메주콩 노란콩 대두 - 원산지 우리나라 만주 콩 백태 메주콩 노란콩 대두 - 원산지 우리나라 만주 백태 콩하면 백태 노란콩 메주콩 메주콩은 우리가 ‘콩’이라고 부르는 노란콩 대두를 말한다. 메주로 만들어 된장, 간장, 고추장 등을 담그는 데 가장 많이 쓰인다. 백태 노란콩은 발효시킨 후 igate.tistory.com 콩나물콩은 같은 품종이라도 생산지, 수확 후 의 건조 및 저장조건 등에 따라서 콩나물 재배 ..
수수 Sorghum 수수 Sorghum 찰수수(차수수), 메수수 오곡(주식으로 사용하는 다섯가지 곡물)에 속하는 수수는 예로부터 수수의 붉은색이 나쁜 귀신의 접근을 막는다 하여 어린아이의 돌이나 생일에 수수팥떡을 만들어 먹기도 하였다. 현대에는 구수한 맛과 건강에 좋은 것이 알려지면서 수수팥떡, 부꾸미에서부터 수수 차, 수수 국수 등 활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다 메수수, 찰수수 일반에 판매되는 수수는 찰 수수이며 메수수는 공업용또는 맥주등의 원료로 사용 된다 수수는 배젖의 녹말 성질에 따라 메수수와 찰수수로 나눌 수 있는데, 찰수수는 단백질과 지질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많아 잡곡밥이나 떡으로 활용되며, 메수수는 식용으로 알맞지 않아 가축의 사료나 공업용 원료, 맥주나 음료수의 원료로도 이용 되고 있다. 효능 및 영양성분 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