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태
콩하면 백태 노란콩 메주콩
메주콩은 우리가 ‘콩’이라고 부르는 노란콩 대두를 말한다.
메주로 만들어 된장, 간장, 고추장 등을 담그는 데 가장 많이 쓰인다.
백태 노란콩은 발효시킨 후 음식으로 먹을 때 영양 성분의 효과가 몇 배로 커진다.
콩의 원산지는 함경북도 회령군 오동의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콩이 출토된 점 등으로 미루어 콩의 원산지는 만주 곧 옛 고구려 땅이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선조들은 일찍이 콩의 진가를 깨달아 중요한 곡물의 하나로 애용하여왔다.
콩과(Leguminosae)는 전 세계, 특히 열대 지방에 약 550속 13,0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36속 92종이 분포하고 있다.
백태의 효능 성분
콩의 성질은 온화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섬유질이 풍부 식이섬유소가많아 콩밥을 먹을 경우 포만감을 주며 제니스틴, 레시틴, 사포닌, 이소플라본, 트립신인히비터가 특히 많이 함유되어 있다.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피토에스트로겐, 즉 이소플라본이 풍부하다.
백태의 보관
18~22℃ 정도의 상온에서 약 3개월 정도 보관이 가능하며 통풍이 잘되고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백태콩 조리법
쌀보다 먼저 콩을 오랫동안 물에 담가서 충분히 불린다
쌀과 한데 섞어 흰밥을 짓듯이 지으면 된다.
추석을 전후한 때에는 청대콩을 그대로 쌀에 섞어 ‘청대콩밥’을 지어먹는데 이는 특히 추석날의 절식이기도 하다. 콩밥은 단백질이 풍부하여 예로부터 서민들에게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이 되어왔다.
콩밥
멥쌀에 콩을 섞어 지은 밥. [내용] 콩의 원산지는 우리 나라와 만주로 보고 있다. 우리의 선조들은 일찍이 콩의 진가를 깨달아 중요한 곡물의 하나로 애용하여왔다. 1813년 김장순(金長淳)은 『김
terms.naver.com
된장과 두부를 만드는데 주로 사용 된다.
된장
콩으로 메주를 쑤어 말린 다음 장독에 넣어 발효시켜 만든 한국의 전통음식. 된장은 콩으로 메주를 만들어 장을 담가 간장을 떠낸 후에 남은 건더기로 만든 것으로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매우 중
terms.naver.com
콩자반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콩자반
콩을 간장에 조려서 만든 음식. [내용] 콩자반은 콩좌반(佐飯)에서 비롯된 이름인데, 좌반이란 밥의 옆에 따른다는 의미로서 밥반찬의 의미가 깊으며, 짭짤하게 만든 반찬에 붙는 명칭이다. 지방
terms.naver.com
백태 성분의 효능과 효과
사포닌 -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등 예방
사포닌 - 대사 촉진력이 뛰어나 혈액 속 여분의 콜레스테롤을 체외로 배출
담석증의 예방과 치료,
콩 단백질의 제니스틴은 암을 비롯해 각종 성인병을 막아주는 역할도 한다. 제니스틴은 4000여 종류의 이소플라본 중 가장 강력한 암 예방 물질로 꼽히는 물질이다.
레시틴, 사포닌, 이소플라본, 트립신인히비터 - 노란콩에 특별히 많이 들어 있는 성분
정장작용을 통한 장운동의 활성화, 배변의 용이, 섬유질에 대한 변비 예방
콜레스테롤 함량 저하를 비롯해 항암·정장작용, 치매 방지 등에서 기능성을 갖는 물질
지방 합성을 억제하고 식이섬유소가 많아 포만감을 주며 비만을 예방할 수 있다.
어려서부터 노란콩을 지속적으로 섭취하게 되면 성인병에 걸릴 확률이 매우 줄어들게 된다.
한방에는 메주콩이 수맥을 내보내고 위 속의 열을 없애며 혈행을 활발하게 한다고 말한다. 또한 예로부터 혼례 절차 중 신랑집에서 함을 보낼 때 메주콩을 주머니에 담아 함 중앙에 넣어 보냈는데, 이는 며느리의 심성이 부드럽기를 기원하는 시어머니의 마음이 담겨 있다.
갱년기 여성에게 좋음.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유사한 작용을 하는 피토에스트로겐, 즉 이소플라본이 풍부하다.)
심장병
고혈압
당뇨병
담석증
장운동의 활성화
변비
콜레스테롤 함량 저하
항암
정장작용
치매 방지
갱년기 여성
레시피
단백질과 수분이 풍부해 밥에 넣어 콩밥으로 먹는다
콩장을 만들면 좋다.
메주로 만들어 된장·간장·고추장 등을 담그는 데 가장 많이 쓰이는데, 이처럼 발효시킨 음식으로 먹을 때 영양 성분의 효과가 몇 배로 커진다.
발효
미생물이 자신이 가지고 있는 효소를 이용해 유기물을 분해시키는 과정을 발효라고 한다. 발효반응과 부패반응은 비슷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지만 분해 결과, 우리의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되는
terms.naver.com
두부를 만들어 먹기도 하고, 싹을 틔워 콩나물로 먹기도 한다.
콩나물
대두를 발아시켜 싹을 틔운 콩나물은 아삭한 식감으로 나물을 만들어 먹어도 좋고, 국을 끓일 때 넣어 시원한 맛을 내기도 한다. 콩나물에 함유된 아스파라긴산은 해독작용을
terms.naver.com
두부
콩을 물에 담갔다가 갈아 그 액을 가열하여 비지를 짜내고 응고제를 첨가하여 굳힌 식품. 콩제품 가운데 가장 대중적인 가공품으로 양질의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한 식품이다. 두부는 중국 한(漢
terms.naver.com
약간 노랗게 익은 콩잎으로는 된장이나 고추장에 담아 삭혀서 장아찌 또는 소금물에 담가 삭혔다가 건져서 엿기름·젓국물과 함께 각종 양념을 버무려 김치를 담가 먹기도 한다.
콩잎김치
콩잎김치는 노랗게 단풍진 콩잎만을 모아 소금물에 삭혀서 양념으로 켜켜이 발라 담가 먹는 경상도의 별미김치이다. 약간 질긴듯한 조직감과 특유의 향이 일품이다. [재료 및 분량] 콩잎 10장씩
terms.naver.com
콩잎장아찌
늦가을에 콩잎을 따서 연한 소금물에 담궈 열흘정도 삭힌 후 물기를 뺀 다음 된장에 박아 잘 삭혀 양념에 버무려 먹는 별미 장아찌로 경상도에서 많이 먹었다. [일본어 표기] 豆の葉の漬物 秋の
terms.naver.com
율무식초에 담갔다가 먹으면 장에서 당을 흡수하는 것을 막아주고, 체내의 지방 합성을 억제하여 비만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백질과 탄수화물이 풍부하여 지방을 추출해서 기름으로 사용하기도 하고, 농장에서 가축들에게 먹이는 사료를 만드는 재료로도 사용된다.
율무
외떡잎식물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풀. 의주자·인미·의미(薏米)라고도 한다. 높이 1∼1.5m이다. 속이 딱딱하며 곧게 자라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바소꼴이며 나비 약 2.5cm로서 밑부분
terms.naver.com
삶은 백태는 월척 이상의 큰 물고기를 낚는 대물낚시의 미끼로도 이용된다.
{출처]
백태 (두산백과)
콩의 대명사, 노란 메주콩 - 콩은 콩인데 종류는 가지가지 (콩, 2004. 9. 17., 손미선)
콩밥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식품문화사(韓國食品文化史)』(이성우, 교문사, 1984)
『한국식경대전(韓國食經大典)』(이성우, 향문사, 1981)
『식품(食品)과 조리원리(調理原理)』(박일화, 수학사, 1974)
안덕균 <한국본초도감>
'몸에 좋은 곡식 채소 야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찰보리 - 찰성 겉보리 (0) | 2021.04.26 |
---|---|
콩 - 콩나물 콩, 초록 콩나물 (0) | 2021.04.26 |
수수 Sorghum (0) | 2021.04.20 |
녹두 - 100가지 독을 치유하는 천연 해독제 Mung beans (0) | 2021.04.19 |
서리태 - 건강 잡곡 검은 껍질속 파란콩, 속청 black bean (0) | 2021.04.06 |